About us
세계경제포럼(WEF : World Economic Forum) 소개
□ 인류의 당면 과제와 세계 경제 주요 이슈에 대해 민관 협력을 통해 해결을 모색(긍정적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는 비영리 국제기구
세계 경제 포럼(世界經濟 – , 영어: World Economic Forum, WEF)은 저명한 기업인ㆍ경제학자ㆍ저널리스트ㆍ정치인 등이 모여 세계 경제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국제민간회의이다. 독립적 비영리재단 형태로 운영되며, 본부는 스위스 제네바주의 도시인 콜로니(Cologny)에 위치한다. ‘세계경제올림픽’으로 불릴 만큼 권위와 영향력이 있는 유엔 비정부자문기구로 성장하면서 세계무역기구(WTO)나 서방선진 7개국(G7) 회담 등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1971년 1월 경제학자 클라우스 슈바프가 창설한 ‘유럽경영포럼(European Management Forum)’으로 출발했다.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첫 회의에 400명의 유럽 경영인들이 참가하였다. 1973년부터 참석 대상을 전 세계로 확장하였고 1974년 1월부터 정치인을 초청하기 시작했다. 1976년 회원 기준을 ‘세계의 1000개 선도 기업’으로 설정하였다. 1987년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81년부터 매년 1월에서 2월 사이 스위스 그라우뷘덴주에 위치하는 휴양 도시 다보스에서 열렸기 때문에 ‘다보스 포럼’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세계경제포럼’의 사명은 “세계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의 경제 상황 개선을 위해 각국의 사업을 연결하여 지역 사회의 산업 의제를 결정한다. 또한 세계 각국의 정상, 장관, 국제기구 수장, 재계 및 금융계 최고 경영자들이 모여 각종 정보를 교환하고, 세계 경제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다. 분열된 세계에서 공동의 미래를 창조하기 위한 전 세계 지도자들의 모임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위키 백과)
□ 주요 기능 : 세계 경제와 첨단 기술에 대한 세계 최고의 싱크 탱크(Think Tank)/네트워킹 기구
ㅇ 세계적 현안 이슈 및 기술 트렌드에 대해 수많은 분석 보고서와 정보동향 자료 작성, 각종 협의체 운영 및 네트워킹 활동 진행
□ 조직 및 예산
ㅇ 본부 : 스위스 제네바 / 사무소 : 뉴욕, 샌프란시스코, 베이징 등
ㅇ 인력 : 800여명
ㅇ 예산 : 6,100억원(’23년 기준. 사업비, 운영비 및 인건비 등으로 사용)
ㅇ 재원조달 : 1,000여개의 다국적 기업 회원 연회비(기여금) 등으로 주로 조달
* 전략적 파트너 : 아마존, 구글, 알리바바, 골드만삭스, 아람코 등 100여개 글로벌 대기업
* 국내회원 :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그룹, LG화학, 한화, 포스코, GS, 효성, 고려아연 등 14개
□ 설립 배경
4차 산업혁명은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 중 일부에 대한 공동 번영과 혁신적인 해결책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빠른 속도는 기관을 압도하고 있어 기업과 사회는 관리되지 않는 위험과 기회를 놓치는 데 취약합니다.
우리의 사명은 리더들이 공정하고 인간 중심적인 산업, 경제, 사회의 변혁을 위해 기술 발전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래 지향적인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 전세계 현황 : 한국(경기도) 포함 전세계 19개 센터
권역 | 국가·지역 | 기관명 | 설립주체 | 중점분야 | 펀딩형태 |
북미(3) | 미국(샌프란시스코) | C4IR San Francisco | 세계경제포럼 | 20개 신기술분야 | WEF 직영 |
미국(텍사스) | Trustworthy Technology | 딜로이트, Patrick J. McGovern Foundation | AI, 블록체인, 메타버스, 양자컴퓨핑 | 민간 | |
미국(미시간) | Advanced Manufacturing | 미시간 경제개발청(Automation Alley) | 스마트공장 | 공공 | |
유럽(2) | 세르비아 | C4IR Serbia | 세르비아정부 | 제도 & 인프라 | 공공 |
독일 | C4IR Germany(GGTC Berlin) | 독일 정부(기술캠퍼스) | 디지털전환, 기술 인프라 | 공공 | |
아시아(12) | 한국 | C4IR Korea | 경기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AI, 스타트업, 첨단제조, 기후변화 대응 | 공공 |
사우디아라비아 | C4IR Saudi Arabia | 사우디아라비아 왕립과학기술원 | 우주과학, 우주기술, 글로벌 협력 | 공공 | |
이스라엘 | C4IR Israel | 이스라엘 정부, 이스라엘 혁신청 | 혁신기술규제 | 공공 | |
UAE | C4IR UAE | 두바이 미래재단 | 블록체인, AI·정밀의학 | 공공 | |
아제르바이잔 | C4IRAzerbaijan | 아제르바이잔 경제부 | 규제 제도 설계 | 공공 | |
카자흐스탄 | C4IR Kazakhstan | 카자흐스탄 산업부, 아스타나 국제 금융센터 | 산업디지털센터 | 공공 | |
인도(뭄바이) | C4IR India | 마하라슈트라 주정부 | 신흥기술 정책·규범설계 | 공공 | |
인도(텔랑가나) | C4IR Telangana | 텔랑가나 주정부 | 빅데이터 사회자본확보 | 공공 | |
일본 | C4IR Japan | 일본 경제통상부 | 헬스케어정보 | 공공 | |
말레이시아 | C4IR Malaysia | 말레이시아 정부 | 에너지·디지털 전환 | 공공 | |
베트남 | C4IR VietNam | 호치민 시정부 | 녹색성장, 하이테크, 스마트시티 | 공공 | |
카타르 | C4IR Qatar | 카타르 정부 | 신흥기술, 지속가능한 개발 | 공공 | |
아프리카(1) | 르완다 | C4IR Rwanda | 르완다 정보통신기술혁신부 | IT정책 규정 공동개발 | 공공 |
중남미(1) | 콜롬비아 | C4IR Colombia | 통상산업관광부메데인시 시장사무소 | 기술거버넌스, 데이터사용 및 신기술 채택 | 공공 |
* ’24년 신규센터 개소(3) : 독일(1월), 베트남(6월), 카타르(6월)
* ‘25년 신규센터 개소(1) : 한국(1월)
□ 4차산업혁명센터(C4IR) 기대효과
통찰력 학습 및 공동 개발
• 글로벌 기술 동향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산업 간 전환 도전과제 및 지역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
• 경쟁 이전 환경에서 지식과 모범 사례를 교환하고 사용 사례 및 분석도구 지식창고에 접근
• 급부상하고 변화하는 트렌드에 대한 선도적인 통찰력, 분석도구 및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개선
의제 형성
• 전략적 이니셔티브 및 센터의 방향 형성
•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고, 위험을 제거하고, 개선하고, 가속화하는 새로운 시범사례와 응용사례를 육성
• 새로운 기회와 트렌드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국내외 정책의 개발 및 배치 속도에 영향력 행사
동류집단와 연결
• 지역 및 지역 전반에 걸쳐 업계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비즈니스 커뮤니티 소집 및 접근
• 현지 및 국제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 기회 파악
• 지역 및 산업 전반에 걸친 디지털 전환 현황 파악
국가 및 지역 위상 제고
• 중립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을 통해 산업 발전과 역량의 사례를 제시
• 현지 및 국제적으로 연결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현지 및 글로벌 노출 증가
• 글로벌 투자 매력 강화
전략적 정보
• 세계경제포럼의 전략적 정보(Strategic Intelligence)로부터 전략적 통찰력과 맥락 정보를 획득
• 경제, 산업 및 글로벌 이슈 전반에 걸쳐 변혁적 변화를 주도하는 이슈와 요인을 탐색하고 모니터링
가시성 제고
• 센터를 통해 백서 및 인사이트 보고서와 같은 공동 브랜드 보고서의 기여자가 됨. 포럼의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의제 블로그를 공동 작성
• 워크샵 및 이벤트에서 강연하도록 초대받음으로써 지역의 사고 리더가 됨.
세계적 수준의 네트워킹 회의
• 국내 및 포럼 네트워크 전반의 선진 제조 전문가를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지역 행사의 의제를 구체화하고 추진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
• Fellows 등 전담 인력을 파견하여 업무 전반에 걸쳐 세계경제포럼의 4차산업혁명센터 네트워크에 접근
• 글로벌 인맥 및 프로젝트를 통한 고위 리더십 개발 및 향상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