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s ahead for economic growth in 2025 and what leaders must do now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부총재 기타 고피너스와의 인터뷰
○ 국제통화기금(IMF)은 2025년~2026년 세계 경제성장률을 3.3% 예상(미국 2.7%, 유럽 1%대)
○ 리더들의 우선 과제 :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 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 구조 재정립(기후변화 대응 및 에너지 안보 강화, 디지털 기반 공공인프라 확대, 사회안전망과 재교육 투자)
○ 리더십과 조직문화 조성 : 다양한 의견 경청 및 이견 허용하는 리더십 문화, 자유로운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신뢰기반의 조직문화 조성
* 본 자료는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Meet the Leader” 프로그램 일환으로,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부총재 기타 고피너스(Gita Gopinath)와 2025년 2월 실시한 인터뷰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기타 고피너스 부총재의 의견은 한국 4차산업센터의 공식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요 내용 >
○ 2025~2026년 세계경제성장률은 약 3.3%이며, 관련 핵심 단어는 격차(Divergence) 와 불확실성(Uncertainty)
- (격차) : 미국 경제는 예상보다 훨씬 좋은 성과와 강한 회복력을 보이고 있으나 유럽경제는 약세, 중국에서는 여러 도전 과제가 나타나고 있음
- (불확실성) :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전 세계적으로 큼(무역 정책, 이민 정책, 투자 및 민간 투자 방향 등)
- (기회) 생성형 AI 같은 혁신 기술이 성공적으로 활용된다면 세계 GDP의 0.8%p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현재 3%의 가까운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추가 0.8%p의 성장은 대단한 것이며 이는 기회임
○ 통계 중 주목할 만한 사항
- 미국 경제성장률 2.7%, 유럽 1% 수준의 약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두드러짐
- 신흥 및 개발도상국이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를 달성하기 위해 연간 약 3조 달러의 투자가 필요
○ 25년 글로벌 경제 성장을 위해 지도자들이 최우선으로 해야할 일
- 중요한 정책변화가 많은 한 해가 될 것이므로 무엇보다 민첩(Agility)해야 할 것이고, 각국의 경제에 회복력(Resilience)을 구축함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
○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이며 회복력 있는 성장을 재구상하려면?
- 더 높은 경제 성장 필요하며 특히 중기 성장 전망이 수십 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낮아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 시급, 기후변화 또한 중요 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후 전환에 대한 투자와 신기술 기반 일자리 창출 필요, 또한 에너지 안보 확보하는 것도 필수
○ 신흥 시장 경제에 대한 핵심 메시지
- 신흥 시장은 전 세계 GDP의 45%를 차지하는 중요한 축이므로 세계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협력하고 협조해야 함
○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
- 2024년 말 글로벌 공공부채는 100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부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이는 세계경제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임.
이를 대응하기 위해서 각국은 ① 성장 친화적인 재정 정책 채택 ② 건전한 재정 프레임워크을 통한 재정 지출을 일정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 ③ 국민 참여 확대 필요
○ 부채 전망에 있어 낙관 편향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이에 대해 사람들이 경각심을 가질 수 있도록 설명
- 이미 높은 부채수준(100조 달러 이상)에 더해, 과거 경험으로 미루어 볼 때 부채 수준을 실제보다 낮게 전망하는 경향이 있음. 우리가 예측하는 부채 수준보다 실제 수치는 2030년까지 약 10%p 더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①전 세계적으로 예측 어려운 대규모 충격(예 : 금융위기, 팬데믹 등)이 부채를 급증 ②정부들이 재정 정책 계획을 완전히 이행하지 않는 경우임
○ 신기술이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공공투자 필요, 사회안전망을 구축하여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 보호, 재교육과 교육 혁신을 통해 새로운 기술 적응
○ 2025년 리더들이 강화해야 할 역량은? (*Future of Jobs에서도 강조한 소프트 스킬과 분산된 리더십의 중요성 강조)
- 사회 전체를 포용하는 정책 변화 즉, 국민과의 적극적 소통 및 관련 의견 정책 결정 과정 반영
○ 인터뷰어(기타 고피너스)가 리더로서 강화하고 싶은 한가지?
- 다양한 정책 변화에 대해 열린 마음을 유지, 변화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거시 및 금융 안정이라는 본연의 임무에 계속 집중. 하지만 변화하는 환경에 발맞춰 새롭게 부상하는 이슈들도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이러한 변화 속에 인터뷰어(기타 고피너스)가 희망을 갖게 하는 요소는?
- 기술 혁신에 큰 희망을 가지고 있음, 세계가 직면한 세가지 도전 ①저성장, ②기후변화, ③고령화 사회에 대해 기술 발전(혁신)이 우리가 직면한 세 가지 주요 도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라고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