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변화에 따라 일자리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 미래에는 기술 역량뿐만 아니라 인문학적 역량도 중요해집니다.
-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해야 합니다.
- 정부와 기업은 교육 시스템 개편과 직업 훈련 프로그램 확대를 통해 변화에 대응해야 합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의 2025년 일자리 보고서(Future of Jobs Report 2025)는 기술 발전, 인구 구조 변화, 기후 대응, 경제 불안정, 지정학적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노동 시장을 다루고 있습니다.
본자료는 2025년 1월에 발간한 WEF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 핵심 메시지 >
‘2030년까지 78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 예상, 하지만 기술 변화에 따른 인력 재교육 시급’
세계경제포럼(WEF)의 ‘2025년 미래의 일자리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까지 약 1억 7천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나고, 9천 2백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져 총 7천 8백만 개의 일자리가 순증할 것으로 예상됨
새로운 일자리 증가 분야
- 돌봄, 교육, 기술, 재생 에너지 : 자동화와 기술 발전으로 인해 기존 일자리가 줄어드는 가운데, 이러한 분야에서는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 인공지능(AI) :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지만, 동시에 기존 일자리가 감소할 수도 있음
- 데이터, AI, 재생 에너지 : 기술 관련 분야의 일자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
- 돌봄 노동자, 농업 노동자, 배달원, 교사 :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종의 수요는 계속해서 높아질 것임
감소하는 일자리 분야
- 그래픽 디자인, 행정 지원 : 자동화와 AI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러한 분야의 일자리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필요한 역량 변화
- 기술 역량과 인문학적 역량의 융합 : 2030년에는 기존의 기술 외에도 새로운 기술에 대한 학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리더십, 창의성 등이 요구될 것입니다.
- 지속적인 학습 :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평생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 인공지능, 빅데이터 : AI와 빅데이터 관련 기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질 것입니다.
- 네트워크 및 사이버 보안 : 디지털 환경에서의 보안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 수요도 늘어날 것입니다.
결론
미래에는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일자리의 양과 질이 크게 변화할 것입니다. 이에 따라 개인은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기술 습득을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로 성장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교육 시스템을 개편하고,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합니다.
< 주요 내용 >
1. 고용을 형성하는 주요 트렌드
– 디지털 전환 : 디지털 접근 확대,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에너지 기술의 발전이 노동 시 장에 큰 영향을 미침
– 녹색 전환 : 탄소 배출 감소와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노력이 산업을 재구성하며, 친환 경 일자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인구 구조 변화 : 고소득 국가에서는 인구 고령화가, 저소득 국가에서는
생산 가능 인구 증가가 인력 전략에 영향을 미침
– 경제적 도전 : 인플레이션, 생활비 상승, 경제 성장 둔화가 고용 추세에 영향을 미침
– 지정학적 분열 : 무역 제한 및 지정학적 긴장이 글로벌 운영 방식을 변 화 시키고 있음
2. 일자리 창출과 감소
– 2030년까지 1억 7,00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9,200만 개의 일 자리가 사라지며, 순증가는 약 7,800만 개로 예상됨
–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직종: AI 전문가, 재생 가능 에너지 엔지니어, 환경 전문가 등임
– 감소하는 직종: 데이터 입력원, 계산원, 비서직 등 반복적인 업무 중심임
3. 역량 변화:
– 2030년까지 핵심 역량의 39%가 변화할 것으로 예상됨
– 증가하는 역량: 분석적 사고, AI 및 빅데이터 활용, 사이버 보안
– 감소하는 역량: 손재주, 지구력 등 반복적인 신체 활동 관련 기술
4. 재교육 및 인력 전략:
– 85%의 기업이 직원의 재교육(upskilling)을 우선시하며, 50%는 감소하는 직무에서 성장 직무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음
– 직원 복지, 다양성, 공정성, 포용성(DEI)을 지원하는 것이 인재 유치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음
5. 기술 통합:
–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직무의 성격을 변화시키고, 비전문가가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자동화와 인간-기계 협력이 작업 분포를 재구성하며 생산성을 높이고, 직무 설계를 다시 정의하도록 요구하고 있음
6. 글로벌 및 지역별 영향:
– 고소득 국가는 인구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화를 집중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 저소득 국가는 증가하는 생산 가능 인구에도 불구하고 일자리 창출의 어 려움을 겪고 있음
-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가장 많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 순위
- 데이터 입력원(Data Entry Clerks)
- 은행원 및 관련 사무원(Bank Tellers and Related Clerks)
- 물자 기록 및 재고 관리 사무원(Material-Recording and Stock-Keeping Clerks)
- 방문 판매원 및 거리 상인(Door-to-Door Sales Workers, News Vendors)
- 행정 비서 및 임원 비서(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Executive Secretaries)
- 법률 비서(Legal Secretaries)
- 인쇄 및 관련 작업자(Printing and Related Trades Workers)
- 법률 사무원(Legal Officials)
- 우편 서비스 사무원(Postal Service Clerks)
- 텔레마케터(Telemarketers)
주요 감소 요인
- 디지털화 : AI 및 자동화 기술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사무직 업무를 대체
- 전자상거래 확산 : 방문 판매와 같은 전통적인 판매 방식 감소
- 사무 자동화 : 데이터 입력 및 기록 작업이 소프트웨어로 대체됨
- 생성형 AI 영향 : 법률, 그래픽 디자인 같은 전문 지식 기반의 직업에서도 AI의 역할 증가
시사점
- 이러한 직업에서 종사하는 근로자는 재교육(reskilling)및 재배치(upskilling)가 필요하며, 기업은 직원들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다른 직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 순위
- 빅데이터 전문가(Big Data Specialists)
- 핀테크 엔지니어(Fintech Engineers)
- AI 및 머신러닝 전문가(AI and Machine Learning Specialists)
-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Software and Applications Developers)
- 보안 관리 전문가(Security Management Specialists)
- 데이터 웨어하우징 전문가(Data Warehousing Specialists)
- 자율 및 전기차 전문가(Autonomous and Electric Vehicle Specialists)
- UI/UX 디자이너(UI and UX Designers)
- 라이트 트럭 및 배달 서비스 기사(Light Truck or Delivery Services Drivers)
- 사물인터넷(IoT) 전문가(Internet of Things Specialists)
- 데이터 분석가 및 과학자(Data Analysts and Scientists)
- 환경 엔지니어(Environmental Engineers)
- 정보 보안 분석가(Information Security Analysts)
- DevOps 엔지니어(DevOps Engineers)
- 재생 가능 에너지 엔지니어(Renewable Energy Engineers)
성장 직업의 특징
- 기술 중심 : AI,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개발 등 기술 중심 직종의 성장
- 녹색 전환 : 환경과 에너지 관련 직업군의 수요 증가(예: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전기차 전문가)
- 보안 강화 : 디지털화 및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며 보안 직업군 증가
- 물류 혁신 : 배달 서비스와 물류 관련 직종의 성장
시사점
- 성장 직업군은 높은 기술력과 전문성을 요구하며, 관련 교육 및 재교육(upskilling)이 필수적임
- 녹색 전환과 디지털화는 장기적으로 더 많은 고용 기회를 창출할 가능성이 있음